2025/07/03 2

학교 교육에서 사라지는 전통무용, 그 대안과 과제

전통무용은 단순한 신체 활동이나 예술교육의 일부가 아니다. 그것은 민족의 정서와 감각, 시간과 역사, 공동체의 기억이 깃든 문화적 언어다. 그러나 오늘날 대한민국의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무용이 사라지고 있다.실기 수업에서조차 거의 다뤄지지 않으며, 교사와 학생 모두 ‘낯선 문화’, ‘지루한 것’, ‘시험과 무관한 예술’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다.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전통무용 한 분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적 정서와 감각을 익힐 수 있는 문화 기반이 교육에서 점점 제거되고 있다는 신호다. 학생들은 무용을 배운다고 해도 발레나 현대무용 위주이며, 국악은 교육과정에 있지만 무용과의 연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통무용은 그저 발표회용, 혹은 일부 예술고등학교 전공 수업에만 한정된 콘텐츠로 축소됐다.이 글에..

전통무용 2025.07.03

전통무용과 국악의 만남, 완벽한 하모니를 말하다

전통무용은 지역과 언어, 문화를 넘어 마음으로 느끼는 예술이다. 특히 한국의 전통무용은 느림과 여백, 감정의 미세한 떨림을 통해 보는 이의 마음 깊은 곳을 두드리는 고요한 힘을 지녔다. 이 힘은 한국인에게만 통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말이 통하지 않아도, 한국사를 알지 못해도, 무용수의 손끝과 발끝에서 피어나는 정서에 감응하는 외국인 관객과 무용수들이 점점 늘고 있다.전통무용은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퍼지고 있는 K-컬처 중 유일하게 ‘빠르지 않은 문화’다. K-pop은 속도와 비트를 무기로 삼지만, 전통무용은 느림과 울림을 통해 정서적 공명과 시간의 여운을 세계인에게 전달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그 느림과 절제가, 현대인의 지친 감정과 빠른 삶에 쉼과 해석의 공간을 제공하며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

전통무용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