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2

전통무용과 향기 문화: 춤과 향이 교차하는 감각의 예술

춤은 눈으로만 감상하는 예술이 아니다. 전통무용이 품고 있는 감각의 층위는 시각을 넘어 청각, 촉각, 심지어 후각까지 아우르는 복합 예술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한국 전통문화에서 향기는 단순한 냄새를 넘어서 정신 수양, 정서 순화, 공간 정화의 의미를 지닌 중요한 문화 요소였다. 향의 문화는 무속의식, 불교 제의, 궁중 의례 등과 긴밀히 얽혀 있었고, 이 모든 문화의 중심에서 몸으로 감정을 풀어내는 전통무용이 존재했다.우리가 흔히 춤을 볼 때 시선은 동작과 의상, 음악에 집중되지만, 조선시대 궁중무나 무속 의식에서 전통무용은 향과 함께 구성되는 감각적 복합체였다. 향은 무용수가 입는 옷에 배어 있었고, 의식 전에 피운 향은 무용의 정서를 감싸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처럼 향은 단순한 소품이 아니라, 감정..

전통무용 2025.07.17

전통무용과 현대무용의 접점, 한국형 컨템퍼러리의 가능성

예술은 언제나 새로움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 새로움은 아무것도 없는 ‘무(無)’에서 태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오래된 것, 잊힌 것, 전통 속에 잠든 감정과 철학에서 출발해 현재를 통과하고 미래로 확장된다. 무용 역시 마찬가지다. 과거의 움직임, 전통의 리듬, 문화의 유산은 단지 보존되어야 할 과거가 아니라, 오늘의 무용언어를 풍성하게 만드는 자양분이 된다. 특히 한국 전통무용은 수백 년 동안 축적된 정서, 몸의 철학, 미적 감각이 응축된 유산이며, 이것이 현대무용과 접속할 때, 전혀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전통무용과 현대무용은 겉보기에 상반되는 개념이다. 전통무용은 일정한 형식과 호흡, 리듬을 중시하며 정서와 감정을 내면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둔다. 반면 현대무용은 해체와 자유, 실험과 ..

전통무용 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