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춤은 눈으로만 감상하는 예술이 아니다. 전통무용이 품고 있는 감각의 층위는 시각을 넘어 청각, 촉각, 심지어 후각까지 아우르는 복합 예술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한국 전통문화에서 향기는 단순한 냄새를 넘어서 정신 수양, 정서 순화, 공간 정화의 의미를 지닌 중요한 문화 요소였다. 향의 문화는 무속의식, 불교 제의, 궁중 의례 등과 긴밀히 얽혀 있었고, 이 모든 문화의 중심에서 몸으로 감정을 풀어내는 전통무용이 존재했다.우리가 흔히 춤을 볼 때 시선은 동작과 의상, 음악에 집중되지만, 조선시대 궁중무나 무속 의식에서 전통무용은 향과 함께 구성되는 감각적 복합체였다. 향은 무용수가 입는 옷에 배어 있었고, 의식 전에 피운 향은 무용의 정서를 감싸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처럼 향은 단순한 소품이 아니라,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