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전통무용은 동작이 아니라 언어다. 그 언어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과 정서를 몸으로 번역한 움직임이며, 시선과 호흡, 손끝과 발끝의 섬세한 리듬 속에서 관객의 마음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무언의 문장이다. 단순히 기술적인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 속에 내면의 감정을 녹여 감상자에게 전달하는 전통무용의 특성은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말보다 느리지만 더 진하고, 글보다 단순하지만 더 깊은 감정을 전하는 이 무용 예술은 동작 그 자체보다 그 움직임에 담긴 의미가 핵심이다.전통무용은 본질적으로 감정을 시각화하는 예술이다. 손을 드는 높이, 발을 내딛는 방향, 시선을 멈추는 위치 하나까지 모두 의도와 정서가 깃들어 있으며, 그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