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무용은 그 자체로 감정을 담은 움직임이지만, 관객 앞에서 펼쳐질 때에야 비로소 완성된다.이는 단순히 ‘보여지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무대는 춤을 시각화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전통의 정서와 상징, 구조를 드러내는 예술적 무대장치이자 해석의 틀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무용 공연에서는 춤사위만큼이나 무대 구성과 연출 전략이 중요하다.한국의 전통무용은 대부분 여백과 절제의 미학, 리듬의 반복성, 감정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무대는 이러한 흐름을 돋보이게 하고 집중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조명이 너무 강하거나 무대 장치가 과하면, 전통무용이 지닌 정서의 섬세함과 여운을 방해할 수 있다. 반대로 너무 단순하거나 연출이 약하면, 관객의 몰입을 끌어내기 어렵다.이 글에서는 전통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