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무용은 눈으로 보는 예술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귀로 듣는 예술이다. 한국 무용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장단 중심의 움직임이다. 무용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춰 단순히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장단의 구조와 강약, 여백을 몸으로 체화해야 한다. 장단은 무용의 시간적 뼈대를 이루며, 감정과 움직임을 연결하는 핵심 요소다. 장단을 이해하지 못하면 전통무용의 본질적인 흐름을 표현할 수 없다.그러나 많은 무용 학습자들이 장단을 단순한 ‘박자’로 외우고 따라 한다. 이런 방식은 춤을 기계적으로 만드는 원인이다. 전통무용은 장단을 머리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귀로 듣고 몸으로 느끼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 장단은 음악적 구조이자 감정의 흐름을 설계하는 언어이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각 ..